안녕하세요. 김초코파이씨입니다.
오늘은 여러분께 주택연금제도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많이 들어는 봤는데 어떻게 활용해야 할 지 모르는 분들!
그리고 은퇴 후 자금흐름이 막막한 분들!
여기에서 주택연금 이야기 듣고 가세요!
주택연금이란 무엇인가요??
주택연금은 집은 있지만 소득이 부족한 고령자가 주택을 담보로
매달 연금을 받을 수 있게 만든 상품입니다. 본인 집에 거주하면서 이사하지 않고
주거 안정을 누리면서 생활비 마련이라는 문제를 동시에 해결 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단, 공시지가 9억원 이상의 주택은 주택연금을 신청할 수 없어요!
주택연금은 누가 신청할 수 있을까요?
부부기준으로 설명해 드릴게요!
부부 중 1명이 만 55세 이상이고 부부 중 1명이 대한민국 국민이어야 합니다.
또한 부부 기준 부동산의 공시 가격이 9억원 이하의 주택(주거형 오피스텔 포함)이어야 하고
다주택자도 합산 가격이 공시 가격 9억원 이하면 가능합니다.
9억원 초과 2주택자는 3년 이내 1주택을 팔면 신청이 가능하며
우대형 주택연금은 1억5천만원 미만 1주택자만 가입이 가능해요!
주택연금에 어떤 상품이 있을까요?
주택연금은 주택 공시 가격과 월 지급금 방식, 지급 유형에 따라 종류가 나눠 지는데요
표로 설명해 드릴게요!
구분 | 일반 주택연금 | 연금 3종 | ||
주택담보대출 상환용 | 우대형 주택연금 | 사전 예약 보금자리론 | ||
주택 공시 가격 | 9억원 이하 | 9억원 이하 | 1억 5천만원 이하 | 보금자리론 신청 시 주택연금 가입을 사전 예약해서 주택 연금 가입 연령에 도달하면 주택연금으로 전환 |
월 지급금 지급 방식 | 종신 지급 종신 혼합 확정 혼합 |
대출 상환 방식 | 우대 지급 우대 혼합 방식 |
|
월 지급금 지급 유형 | 정액형 전후후박형 |
정액형 | 정액형 |
* 전후후박형이란 신청자가 가입 초기 매달 많은 금액을 받고 11년째부터 처음 받던 금액의 70%만 받는 방식입니다.
주택연금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까요?
1) 지급방식 선택하기
주택연금 지급 방식은 '종신 지급 방식'과 '확정 기간 방식'이 있는데요
국민연금 수령액이 많지 않고 활용할 수 있는 다른 자산이 없으면
종신 지급 방식이 안정적인 노후 생활과 리스크 대비에 유리합니다.
2) 가입시기
주택연금은 가입 후 집값이 상승해도 가입 당시 정해진 월 지급 금액으로 받아요.
집값 상승 요인이 있다면 주택 연금 가입을 늦추는게 유리하고
반대로 하략 요인이 있다면 빨리 가입하는게 좋습니다.
담보로 잡힌 주택 가격보다 수령한 연금이 더 많은 경우도 있는데
주택 가격보다 많은 연금을 받았어도 차액을 상환할 필요가 없고
사망 시 주택 처분 후 연금 수령액을 제한 금액은 유족들에게 상속된다고 합니다.
3)임대 수익
주택 연금 대상 주거지에 실거주를 하지 않으면
주택연금 지급이 종료 되지만 한국주택금융공사와 주택연금
신탁 계약을 체결하면 주택연금 수급에 임대수익까지 얻을 수 있습니다.
4) 주택담보대출 상환
수입이 부족한데 주택담보대출 이자까지 내고 있다면 "대출 상환 방식 주택 연금"을 활용해서
이자 부담을 줄일 수 있어요!
본인 집의 '인출 한도'범위 안에서 목돈을 한번에 찾아
대출금을 갚고 남은 금액은 연금처럼 수령이 가능합니다!
요즘 저는 노후대비에 대해 고민을 하고 있는데요.
우리나라 사람들의 대부분이 죽기전에
자식들에게 재산 하나라도 물려줘야 한다는 압박감이 있는 것 같아요.
하지만 본인들의 삶을 오롯이 잘 살아가는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저는 주택연금 제도 굉장히 좋다고 생각합니다.
국민연금이나 기본연금외에 소득이 없는 분들은
본인 소유의 집으로 끝까지 본인의 인생을 책임질 수 있으니
얼마나 합리적인가요!
우리나라 주택연금 평균 주택가격은 3억 2400만원
가입자의 평균연령 72세
평균 월 지급금107만원이라고 하는데요.
본인의 재산에 맞게 잘 생각해 보시고
좋은 제도 활용하실 수 있길 바랍니다!!!
'복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인회생 수수료 얼마나 들까요? 필요 비용 알려드려요! (0) | 2022.07.04 |
---|---|
개인파산 채무조정제도 필요한 비용 얼마예요? (0) | 2022.07.04 |
신혼부부 매입임대주택 유형 1과 유형2 차이점 및 우선순위! (0) | 2022.06.24 |
황혼 이혼 위자료 및 재산 분할 세금까지 알려드릴게요! (0) | 2022.06.21 |
카드 값 연체, 대출 연체 등 돌려막기 하지말고 신용회복위원회 추천해요!! (0) | 2022.06.20 |
댓글